Alcohol(R-OH)을 Alkyl halide(R-X)로 만드려면 HX를 사용하거나 SOCl2 나 PBr3 를 사용하면 된다. 그런데 알코올의 탈수 반응처럼 -OH는 좋은 leaving group이 아니다. 그래서 알코올을 반응시키려면 먼저 -OH기를 좋은 leaving group으로 바꾸는 것을 먼저 해야만 한다. 먼저 HX를 사용하는 것부터 보자.
알코올을 할로젠 이온 X-와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OH가 좋은 이탈기가 아니기 때문에 아래의 치환 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R-OH + X- → R-X + -OH
그러나 알코올을 HX와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H2O가 이탈기가 되기 때문에 아래의 치환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R-OH + HX → R-X + H2O
알코올과 HCl, HBr, HI의 반응은 일차, 이차, 삼차 Alkyl halide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치환기가 많은 알코올은 HX와 더 빠르게 반응한다.
반응속도가 느림 반응속도가 빠름
RCH2-OH R2CH-OH R3C-OH
1˚ 2˚ 3˚
1˚ 2˚ 3˚
ROH와 HX의 반응은 먼저 산염기 반응으로 알코올의 OH기에 강산인 HX의 양성자가 첨가되어 좋은 이탈기Good leaving group(H2O)과 친핵체nucleophile(X-)가 된다. 그 후에는 치환기의 수에 따라 SN2 또는 SN1이 일어나며 치환된다. 보통 Methanol과 1차 알코올은 SN2 메커니즘을 따라서 반응을 하며, 2차와 3차 알코올은 SN1 메카니즘을 따라서 반응한다.
1˚ ROH와 HX의 반응 SN2 메커니즘
이 반응은 SN2 메카니즘을 따라 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Walden inversion이 일어나서 입체화학이 반전되는 생성물이 생성된다.
[Walden inversion]
2˚ ROH, 3˚ ROH와 HX의 반응 SN1 메커니즘
이 반응은 SN1 메카니즘을 따라 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라세미 혼합물racemic mixture를 생성한다.
[racemic mixture]
SN1 반응에서 carbocation이 형성되고, 탄소양이온의 안정성 때문에 탄소양이온의 자리옮김rearrangement가 일어날 수 있다.
[먼저 양성자의 이동이 일어난 후, 물 분자가 빠져나오면서 carbocation이 생성된다.]
[하지만 2˚ carbocation보다는 3˚ carbocation이 안정해서 1,2-H 이동이 일어난 후에 친핵성 공격이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HX의 반응성은 산성도가 증가하면, 증가한다.
반응속도가 느림 반응속도가 빠름
HCl HBr HI
염화이온 Cl-은 Br-이나 I-에 비해 약한 친핵체nucleophile이다. 그래서 반응성이 느린 1˚ ROH와 Cl-을 반응시킬 때는 염화아연Zinc chloride(ZnCl2)와 같은 Lewis acid 촉매를 첨가해야한다. ZnCl2는 ROH의 산소원자와 Lewis 산-염기 반응을 하여 좋은 leaving group을 형성한다.
Thionyl chloride(염화 싸이오닐, SOCl2)은 ROH를 RCl로, Phosphorus tribromide(트라이브로민화 인, PBr3)은 ROH를 RBr로 바꾼다. 이 두 시약은 -OH와 반응하여 좋은 leaving group을 만들면서 nucleophile을 생성시킨다. 두 시약 모두 알코올과 반응시키기 위해서 pyridine을 사용해야 한다.
ROH와 SOCl2, pyridin의 반응 SN2 메커니즘
ROH와 SOCl2의 반응은 중간체를 형성한다. 중간체를 형성하면서 친핵체인 Cl-가 생성된다. 중간체는 피리딘과 산-염기 반응에 의해 양성자를 잃게되고, 좋은 이탈기인 OSOCl이 된다.
그 후에 Cl-의 친핵체 공격과 이탈기의 이탈이 한 단계로 일어난다.
ROH와 PBr3, pyridin의 반응 SN2 메커니즘
Br-의 nucleophilic atack과 이탈기(HOPBr2)의 이탈이 한 단계로 일어난다.
'Organic Chemis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her Cleavage in Strong Acid, 강산에서의 에테르 절단 (0) | 2012.02.29 |
---|---|
에테르, Ether (0) | 2012.01.27 |
Dehydration of Alcohol (0) | 2011.09.23 |
Alcohol 알코올 (0) | 2011.08.24 |
E1 reaction (1) | 201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