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rganic Chemistry

Unimolecular Nucleophilic Substitution, 일분자 친핵성 치환 반응

 
친핵성 치환(Nucleophilic substitution)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SN2 반응은 앞의 글에서 다루었다. 이 글에서는 SN1반응을 다룰 것이다.


SN1 Mechanism (일분자 친핵성 치환, unimolecular nucleophilic substitution)

(CH3)3CBr (t-butyl bromide)과 CH3COO- (actate)의 반응은 SN1반응의 한 예이다.


○ 반응속도론 (Kinetics)

SN1 반응은 일차 속도식(first-order kinetics)으로 표현된다. SN1 반응에서의 1은 속도식이 1차라는 뜻에서 붙여진 것이다. SN1 반응의 속도는 nucleophile(친핵체)의 특성과 농도가 아닌 alkyl halide(할로젠화 알킬)의 농도에만 의존한다. 위 SN1 반응의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속도 = k[(CH3)3CBr]

○ 두 단계 메카니즘 (A Two-step mechanism)


SN1 반응은 결합이 먼저 끊어지고 나중에 새로운 결합이 생성되는 두 단계 메카니즘이다.

단계 - 1 C-Br 결합이 끊어진다.

먼저 C-Br 결합이 불균형적으로 분해된다. 결합에 참여하고 있던 두개의 전자가 모두 Br에 가면서 반응성이 큰 탄소양이온(carbocation)이 형성된다. 이 단계가 느리기 때문에 이 단계가 속도 결정 단계(rate-determining step)이다.


단계 - 2 C-O결합이 형성된다.

탄소 양이온에 아세트산 음이온이 친핵성 공격(nucleophilic attack)을 하여 C-O 결합을 형성한다. 이 반응은 Lewis 산-염기 반응인데, 친핵체 acetate는 Lewis 염기이고 탄소양이온은 Lewis 산이 된다. 이 단계는 하나의 결합이 형성이 되기만 하므로 단계-1보다 빠르다.



SN1 반응의 메카니즘의 중요한 두가지 특징이 있는데, 첫번째는 메카니즘은 두 단계이며 두번째는 반응성이 큰 중간체인 탄소양이온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 입체화학 (Stereochemistry)

SN1 반응의 입체화학을 논하기에 앞서 탄소양이온의 분자오비탈(Molecular orbital, M.O.)를 살펴보자.


세 개의 원자단이 탄소 주위에 있는 탄소 양이온은 sp2 혼성 오비탈 구조를 가지며, 평면 삼각 구조이다. 분자 평면의 위 아래로 비어있는 p 오비탈이 있는 것을 위의 그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N1 반응을 다시 살펴보자.



먼저 Br이 이탈기로써 떨어져나간다. Br이 떨어져나가면서 평면 삼각 구조의 탄소양이온이 형성되고 분자 평면에 수직한 비어있는 p 오비탈이 생긴다. 이때 Nu- 는 분자 평면의 왼쪽과 오른쪽 모두 공격할 수 있고, 따라서 생성물은 두개가 생성된다. 이 두 생성물은 입체 중심(stereogenic center)을 하나 가진 다른 화합물이다. 두 화합물은 서로 겹쳐지지 않는 거울상이성질체(enantiomer)이다. Nu-가 공격할 때 한쪽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두 화합물은 같은 양이 생성된다. optical active한 화합물에서 optical inactive한 혼합물이 생성될 때, 이 혼합물을 racemic mixture(라세미 혼합물)이라 하고, 이러한 과정을 racemization(라세미화)라고 한다. Racemization은 하나의 출발물에서 두 거울상이성질체가 같은 양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다음은 SN1 반응의 몇가지 예이다.

○ R기의 특성

SN1반응은 CH3+에서 1˚, 2˚, 3˚으로 갈수록 반응성이 증가한다. 3˚ Alkyl Halide는 SN1  반응이 급격하게 일어나고, 2˚ Alkyl Halide는 보다 더 천천히 일어난다. 그리고 CH3와 1˚ Alkyl Halide는 SN1 반응을 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탄소양이온(carbocation)의 안정성에서 찾을 수 있다. 탄소양이온의 안정성은 Inductive effects(유도 효과)hyperconjugation(하이퍼콘쥬게이션)에 의해 결정된다.

Inductive effects 는 σ결합을 통해 일어나는 전자 효과이다. 전자밀도가 더 큰 공간으로 퍼질 때 화학종을 안정시킨다. 양전하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전자를 양전하를 띄는 원자쪽으로 밀어주는 원자단이 필요하다. 전자를 밀어주는 원자단을 electron-donating group이라고 한다.알킬기는 electron-donating group중의 하나로 양전하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알킬기가 많으면 많을 수록 안정해지고, 결국 3˚ Carbocation이 가장 안정해진다.

Hyperconjugation은 비어 있는 p-orbital과 인접한 σ-bond와 겹쳐져서 전하를 흩어지게 하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메틸 이온은 hyperconjugation에 의해 안정화 될 수 없지만, 다른 메틸기가 있는 탄소양이온은 안정화 돌 수 있다.

 

 ○ Hammond Postulate
Hammond 가설은 전이 상태의 에너지를 정성적으로 설명한다. Hammond 가설은 한 반응의 전이 상태는 전이상태와 에너지 차가 적은 반응물 또는 생성물의 구조를 닮는다는 것이다. 전이 상태는 반응 전과정 중에서 가장 에너지가 높고, 그 구조는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반응물이나 생성물의 구조를 닮았다.

 흡열반응에서는 생성물의 에너지가 반응물보다 높다. 따라서 흡열반응의 전이상태의 구조는 생성물과 닮았다. 흡열 반응에서 생성물이 좀 더 안정한 구조를 가진다면, 전이상태도 좀 더 안정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좀 더 안정한 구조를 가지는 전이 상태는 더 작은 활성화 에너지Ea를 가지게 되고, 따라서 반응이 더 빠르게 일어난다.

 SN1반응에서 속도 결정 단계RDS는 탄소양이온 생성 단계이며, 이 반응은 흡열 반응이다. Hammond 가설에 따르면 생성물에 해당하는 탄소양이온의 안정성이 반응속도를 결정한다. Inductive effects와 hyperconjugation에 의해 3˚가 CH3+보다 안정한 생성물이고 따라서 3˚가 더 빨리 생성된다.



 SN1반응과 SN2반응

Alkyl Halide는 SN1반응과 SN2반응 모두 할 수 있다. 그러면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반응으로 진행될지 알아보자.

 1. Alkyl Halide
 어떤 반응이 SN1반응으로 갈지 SN2반응으로 갈지 결정하는 제일 중요한 요소는 반응물 그 자체이다.

메틸과 1˚ Alkyl halde는 탄소양이온이 매우 불안정하다. 따라서 SN2반응만 한다.
3˚ Alkyl halide는 탄소양이온이 안정하고, 입체 장애steric hinderance가 있기 때문에 SN1반응만 한다.
2˚ Alkyl halide는 SN1반응과 SN2반응 모두 한다. 2˚ Alkyl halide는 다른 요소가 반응을 결정한다.

 2. Nucleophile
 반응을 결정하는 또 다른 요소는, 다른 하나의 반응물이다. SN2반응의 반응속도식은 k[RX][:Nu-] 으로, Nucleophile의 특성이 같이 고려되지만, SN1반응의 반응속도식은 k[RX]으로 Nucleophile에 무관하다. 

  SN1반응과 SN2반응 모두 할 수 있는 2˚ Alkyl halide는 강한 Nucleophile이 높은 농도로 있으면 SN2반응으로 진행되고, 약한 Nucleophile이 있으면 SN2반응 속도를 감소시키고 SN1반응으로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SN2반응을 진행시키는 강한 Nucleophile은 음이온을 띄는 것이고, SN1반응을 진행 시키는 약한 Nucleophile은 물이나 알코올ROH와 같은 것이다.

 3. Leaving group
 좋은 이탈기는 두 반응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두 반응 모두 탄소와 이탈기의 결합이 끊어지면서, 할로젠 원자가 전자를 조금 더 끌어당기고 결국엔 음이온으로 떨어져나오기 때문에, C-X 에서 전자쌍을 더 잘 받는 이탈기가 좋은 이탈기로 작용한다. 따라서 결국 R-F, R-Cl, R-Br, R-I로 갈 수록 반응 속도가 증가한다.

 4. Solvent
 Protic Solvent에서는 SN1반응이 더 잘 일어나고, Polar Aprotic Solvent에서는 SN2반응이 더 잘 일어난다.


'Organic Chemis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1 reaction  (1) 2011.08.23
E2 Reaction  (6) 2011.08.20
Bimolecular Nucleophilic Substitution, 이분자 친핵성 치환 반응  (3) 2011.01.03
Nucleophilic Substitution (친핵성 치환)  (2) 2010.11.29
Alkyl Halide (할로젠화 알킬)  (1) 2010.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