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ioChemisty

정보를 가진 거대 분자 DNA & RNA

 1950년대에 이르러서 DNA의 조성은 잘 알려졌다. 과학자들은 DNA는 네 종류의 염기로 이루어져있고, 아데닌adenine(A)와 티민thymine(T)의 비율과 구아닌guanine(G)와 시토신cytosine(C)의 비율이 언제나 일정하다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DNA 분자의 정확한 구조는 미스테리였다. DNA의 구조를 알아낸 것은 생물학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중 하나이다. 제인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의 구조를 결정했고 그에 대한 공로로 1962년 모리스 윌킨스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다. 다음을 클릭하면 1962년 노벨 생리의학상의 연설문을 볼 수 있다.




 핵산은 당-인 골격에 연결된 염기로 이루어져 있다.

 핵산Nucleic acid의 두 종류, DNA와 RNA는 유전 정보를 다음 세대로 넘겨주는 기능을 하기에 알맞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거대분자는 선형 중합체linear polymer로 비슷한 단위체들의 끝과 끝이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단위체는 세 성분을 가지고 있다. 당Sugar, 인phosphate, 그리고 염기base이다. 그리고 이중 염기의 서열은 핵산의 성격을 유일하게 만들어주고, 1차원적인 정보를 가지게 해준다.


Deoxyribonucleic acid(DNA) 안에 있는 당은 디옥시리보오스deoxyribose 이다. Ribose 앞의 'deoxy' 라는 접두사는 ribose라는 당의 2'-carbon 원자에 산소 원자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Ribosenucleic acid(RNA) 안에 있는 당은 리보오스ribose이다.

 핵산Nucleic acid에 들어 있는 당sugar은 다른 sugar와 phosphodiester로 연결되어 있다.

[왼쪽부터 ester, diester, phosphodiester]

 정확하게는 sugar의 3'-hydroxyl group(3'-OH)이 phosphoryl group과 붙어있고, 다시 phosphoryl group은 sugar의 5'-hydroxyl group과 붙어있다. 이런식으로 길게 연결된 사슬chain을 nucleic acid의 backbone골격이라고 한다.

[왼쪽은 DNA, 오른쪽은 RNA의 구조이다. base 부분에 DNA는 ATCG, RNA에는 AUCG가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backbone은 DNA나 RNA에서 변하지 않고 계속 반복되지만 base염기는 다양하게 바뀐다. Base는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purine퓨린의 유도체인 adenine아데닌guanine구아닌pyrimidine피리미딘의 유도체인 cytosine시토신과 DNA에서만 사용되는 thymine티민, RNA에서만 사용되는 uracil우라실이 있다.



 핵산의 단위체

 핵산을 구성하는 단위체를 살펴보자. 염기와 당이 결합된 것을 누클레오시드nucleoside라고 한다. DNA에 있는 누클레오시드 단위체들은 데옥시아데노신deoxyadenosine, 데옥시구아노신deoxyguanosine, 데옥시시티딘deoxycytidine, 티미딘thymidine 이라고 한다. 티미딘의 경우 앞에 '데옥시deoxy'를 붙이지 않는 까닭은 T가 DNA에서만 사용되어 구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RNA에 있는 누클레오시드 단위체들은 아데노신adenosine, 구아노신guanosine, 시티딘cytidine, 우리딘uridine 이라고 부른다.

 염기와 당은 퓨린의 N-9 또는 피리미딘의 N-1이 당의 C-1'에 붙어있다. 당을 그렸을 때, 염기는 평면 위쪽에 놓이게 되어(C-5'와 같은 면) β 형이 되고 이 결합을 β-글리코시드 결합, β-glycosidic bond라 한다.

 DNA나 RNA에서 당은 인산기와 결합되어 골격을 형성한다. 누클레오시드에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인산기가 에스테르ester 결합에 의해 연결된 것을 누클레오티드nucleotide라고 한다. 인산기가 세 개 붙은 누클레오티드는 DNA와 RNA를 연결하는 단위체이다.

 DNA를 형성하는 4개의 누클레오티드 단위체들은 각각 데옥시아데닐산deoxyadenylate, 데옥시구아닐산deoxyguanylate, 데옥시시티딜산deoxycytidylate, 티미딜산thymidylate 라고 부르는 인산기가 한개 있는 누클레오티드 일인산nucleotide monophosphate이다. 티미딜산도 역시 앞에 '데옥시deoxy'를 붙이지 않는데, RNA에서 아주 드물게 발견되므로 붙이지 않는다.

 접미사 'ate'를 갖는 염기는 누클레오티드지만 당의 몇번째 탄소에 몇개의 인산이 붙어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래서 더 확실하게 알 수 있는 명명법도 사용되는데, 인산기가 C-5'에 붙은 화합물을 누클레오시드 5'-인산nucleoside 5'-posphate 또는 5'-nucleotide라고 한다. ATP는 아데노신 5'-삼인산adenosine 5'-triphosphate이다.

[ATP의 구조]


 DNA는 길다

 때로는 DNA의 염기 서열을 써야할 때가 있다. 그럴 때 복잡한 화학 구조를 일일이 쓰는 것 보다는 약어를 사용을 하기로 과학자들은 정하였다. pApTpCpG 또는 pATCG, ATCG 라고 하는 것은 네 개의 뉴클레오티드를 나타낸다. ATCG로 표시한 염기서열은 각각 phosphodiester 결합으로 연결된 것이며 p는 인산기를 뜻한다. 4개의 누클레오티드의 화학구조는 다음과 같이 약식으로 표시한다.

 DNA와 RNA는 방향성이 있는데, 5'에서 3' 방향으로 DNA와 RNA의 염기서열을 쓴다. 5'과 3'는 탄소 번호이고 각각 인산기에 부어있다.

'BioChemis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당 과정, Glycolysis  (0) 2014.03.09
탄수화물, Carbohydrate  (2) 2012.03.19
아미노산 Amino acid  (6) 2012.03.01
Michaelis-Menten Model  (0) 2011.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