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여러 Alkane, 알케인들을 보았다. 메테인, 에테인, 프로페인, 뷰테인, 펜테인. 이들은 각각 탄소가 1, 2, 3, 4, 5개인 알케인을 의미한다. 탄소가 더 많은 경우의 이름들을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탄소수 | 우리말 | 영어 | 탄소수 | 우리말 | 영어 | 탄소수 | 우리말 | 영어 |
1 | 메테인(메탄) | methane | 19 | 노나데케인 | nonadecane | 100 | 헥테인 | hectane |
2 | 에테인(에탄) | ethane | 20 | 이코세인 | eicosane | 200 | 딕테인 | dictane |
3 | 프로페인 (프로판) |
propane | 21 | 헨이코세인 | henicosane | 300 | 트릭테인 | trictane |
4 | 뷰테인(부탄) | butane | 22 | 도코세인 | docosane | 400 | 테트락테인 | tetractane |
5 | 펜테인(펜탄) | pentane | 23 | 트리코세인 | tricosane | 500 | 펜탁테인 | pentactane |
6 | 헥세인(헥산) | hexane | 24 | 테트라코세인 | tetracosane | 600 | 헥삭테인 | hexactane |
7 | 헵테인(헵탄) | heptane | 25 | 펜타코세인 | pentacosane | 700 | 헵탁테인 | heptactane |
8 | 옥테인(옥탄) | octane | 26 | 헥사코세인 | hexacosane | 800 | 옥탁테인 | octactane |
9 | 노네인(노난) | nonane | 27 | 헵타코세인 | heptacosane | 900 | 노낙테인 | nonactane |
10 | 데케인(데칸) | decane | 28 | 옥타코세인 | octacosane | 1000 | 킬리에인 | kiliane |
11 | 운데케인 | undecane | 29 | 노나코세인 | nonacosane | 2000 | 딜리에인 | diliane |
12 | 도데케인 | dodecane | 30 | 트리아콘테인 | triacontane | 3000 | 트릴리에인 | triliane |
13 | 트리데케인 | tridecane | 40 | 테트라콘테인 | tetracontane | 4000 | 테트랄리에인 | tetraliane |
14 | 테트라데케인 | tetradecane | 50 | 펜타콘테인 | pentacontane | 5000 | 펜탈리에인 | pentaliane |
15 | 펜타데케인 | pentadecane | 60 | 헥사콘테인 | hexacontane | 6000 | 헥살리에인 | hexaliane |
16 | 헥사데케인 | hexadecane | 70 | 헵타콘테인 | heptacontane | 7000 | 헵탈리에인 | heptaliane |
17 | 헵타데케인 | heptadecane | 80 | 옥타콘테인 | octacontane | 8000 | 옥탈리에인 | octaliane |
18 | 옥타데케인 | octadecane | 90 | 노나콘테인 | nonacontane | 9000 | 노날리에인 | nonaliane |
영어로 'ane' 앞의 있는 단어가 탄소의 수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화합물에서도 탄소의 수를 나타낼 때에는 'ane' 앞의 단어로 표현하기 때문에 탄소 수가 10개 이하인 것은 외워두는 것이 편하다. 2537개의 탄소를 가진 알케인의 이름은 1, 10, 100, 1000의 자리 순서대로 쓰게 되므로 hepta + triaconta + pentacta + dilia = heptatriacontapentactadiliane 가 된다.
●알킬기, Alkyl group
분자의 어떤 부분을 하나의 group으로 묶는다. 예를 들어 CH3Cl은 Methyl chloride,염화 메틸라고 읽는다. 이때 CH3는 'methyl, 메틸' 이라고 읽는다. 그래서 CH3Br은 methyl bromide, 브로민화 메틸이라 하고, CH3OH는 methyl alcohol, 메틸 알코올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C2H5는 ethyl, 에틸, C3H7는 propyl, 프로필, C4H9는 butyl, 뷰틸이 된다.
이들을 통틀어서 alkyl group, 알킬기라고 하는데 이들의 이름은 alkane의 -ane을 -yl로 바꾸면 된다. 일반식은 CnH2n+1으로 알케인의 일반식에서 수소 하나가 빠진 형태이다.
알킬기의 이름을 정할 때에 이성질체가 문제가 될 수 있다. methyl chloride와 ethyl chloride는 단 한개의 구조를 가지지만 propyl chloride의 경우 두가지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왼쪽은 n-Propyl chloride, 오른쪽은 Isopropyl chloride]
[왼쪽은 n-Propyl, 오른쪽은 Isopropyl]
[왼쪽부터 n-butyl, sec-butyl, isobutyl, tert-butyl]
엄청나게 복잡한 분자라하더라도 화학에서는 그 어떠한 동명이인도 허용될 수 없다. 모든 화합물의 이름을 각각 다르게 가지게 하기 위해서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IUPAC)에서는 이름을 정할 방법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바로 IUPAC system이다.
IUPAC system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구조에서 가장 긴 사슬을 찾는다. 그 사슬을 이루는 탄소의 수에 해당하는 것을 parent로 삼는다. 탄소가 7개인 것이 가장 긴 사슬이면 heptane, 9개면 nonane이 parent가 된다. 일렬로 연결된 사슬이 아닌 가지로 나온 사슬은 치환기로 취급하여 parent 앞에 쓰는 perfix가 된다. perfix로 쓸 때는 alkyl기로 이름을 쓴다.
위쪽으로 뻗은 사슬을 보면 탄소가 9개, 아래쪽으로 뻗은 사슬은 탄소가 7개이다. 가장 긴 사슬은 9개 이므로 nonane이 parent가 되며, 가지로 나온 사슬은 탄소가 2개이므로 ethyl이 된다. alkyl기가 붙은 탄소의 숫자를 정할 때는 탄소의 끝에서부터 1, 2, 3 순으로 세어나가는데 치환기의 숫자가 제일 적을 수 있도록 한다. 위의 예시는 5번째 탄소에 붙어서 5-ethylnonane이 된다.
2. 가장 긴 사슬이 두개가 있을 경우엔 치환기가 많은 쪽을 parent로 삼는다.
3. 같은 치환기가 2개 있으면 di, 3개 있으면 tri, 4개 있으면 tetra를 alkyl기 앞에 붙인다.
4. 치환기가 두개 이상일 경우 di, tri를 제외한 알파벳 순서대로 이름을 쓴다.
위의 예시에서 diethyl과 trimethyl이 있는데 e가 m보다 앞에 있으므로 이름도 diethyl이 앞에 오게 된다.
'Organic Chemis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데하이드와 케톤, Aldehydes and Ketones (0) | 2013.12.29 |
---|---|
알카인, Alkyne (0) | 2012.05.18 |
알케인, Alkane (2) | 2012.05.18 |
알켄의 수소화붕소첨가 & 산화 반응, Hydroboration & Oxidation of Alkene (5) | 2012.05.16 |
알켄의 할로수화반응, Halohydration of Alkene (4) | 2012.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