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ysical Chemistry/Quantum Chemistry

Wave-Particle Duality (de Brogile relation)


 예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빛의 본질에 대해서 얘기했었다. 빛은 입자인가, 아니면 파동인가에 대해서 많은 의견들이 있었으나 19세기에 이르러서는 '빛은 파동이다' 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광전효과나 Compton효과 처럼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이 일어났다.

 
입자일 경우 설명할 수 있는가
파동일 경우 설명할 수 있는가
직진, 반사, 굴절
O
O
회절, 간섭
X
O
편광
X
O
광전 효과
O
X
Compton 효과
O
X

 위와 같이 빛이 입자라고 말할 수도 없고 파동이라고 말할 수 없어서, 결국 사람들은 빛의 '파동-입자의 이중성(Wave-Particle Duality) 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파동인 빛이 입자성을 가지고 있다면, 입자도 파동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 드 브로이Louis de Brogile가 예상을 하였고, 그 예측이 맞아 192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게 된다. 다음을 클릭하면 1929년 노벨 물리학상 연설문을 볼 수 있다.





Louis de Brogile는 다음과 같은 식을 제안했다.

먼저 입자에 관한 대표적 식이 Einstein이 세운 와 Planck가 만든 파동에 적용되는 식인 을 같다놓고 풀면 다음과 같이 된다.

 플랑크의 식을 다음과 같이 바꾸고, 가 된다. 따라서 파장은,



 그리고 파동은 광속이지만, 입자에 대해 일반화하면 속도를 c에서 v로 바꾸어 쓴다.


 무게가 m이고 속도가 v인 입자의 파장은 운동량을 플랑크 상수로 나눠준 것이고, 이 파장을 de Brogile wavelength 라고 한다.

드브로이의 식이 맞는지 검증을 Bragg 부자가 했는데, 만약 입자가 파동성을 가지고 있다면 파동으로만 설명할 수 있는 회절 현상이 일어나야 한다.

먼저, X선의 회절무늬는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1. X선 회절무늬]



위의 그림에 해당하는 파장에 맞추어 전자의 속도를 계산해서 회절무늬가 나오는지 실험을 하였더니 다음과 같이 되었다.

[그림 2. 전자의 회절무늬]





h의 값을 보면 으로 매우 작은 값이다. 그래서 거시적 세계(macroscopic world) 에서는 질량(m) 자체가 너무 커서 파장이 매우 짧아져 파동성이 무시되는 것이고, 전자와 같이 미시적 세계(microscopic world)에서는 질량도 작아 파장을 무시할 수 없는 값이 되어 파동성이 중요해진다.



전자를 처음부터 파동으로 놓고 생각한다면, 원자핵 주위를 도는 전자는 왼쪽 그림처럼 정상파가 되어야할 것이다.
 

[그림 3. 전자를 파동이라 생각하고 그렸을때의 원자모형]


만약, 정상파가 아니라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되고, 전자는 안정적으로 원자핵 주위를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전자가 회전하는 원주의 길이가 파장의 정수배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드브로이 식에 적용을 하면,



가 되는데, 이식을 수정하면



 위의 식이 된다. 그런데 이 식은 Bohr가 가정 했던 내용으로, 드브로이의 식에 의해 더이상 '가정'이 아니게 된다.
(관련 내용 Link)



 이처럼 전자와 같이 미시입자들의 파동성이 중요해져서 처음부터 미시입자를 파동으로 생각해서 발전하게 된 것이 양자 역학, Quantum Mechanics이다. 이 분야를 개척한 사람이 크게 두명이 있는데 한명은 Schrodinger로, 슈뢰딩거는 미분방정식으로 전자의 움직임을 해석했는데 이것을 Wave Mechnics, 파동역학 이라한다. 또 한명은 Heisenberg로, 하이젠버그는 행렬으로 해석했는데 이것을 Matrix Mechnics, 행렬 역학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