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ysical Chemistry/Quantum Chemistry

Vibrational Motion, 진동 운동


진동 운동은 고전 역학적으로는 용수철의 신축운동, 시계추의 진자운동등이 해당한다. 화학적인 관점에서는 화학 결합이 진동 운동을 하며, IR-spectrum은 결합의 성질을 알 수 있다.

진동 운동을 하면 Hook's law (후크의 법칙)을 만족한다.

F=-kx

k는 힘 상수(force constant)로써 k가 크면 강한 결합, k가 작으면 약한 결합을 의미한다. 그리고 potential energy는 -F에 대해서 적분하면 된다. 그리고 이때의 V는 Harmonic oscillator potential이라 한다.



[k가 클 때 Harmonic oscillator potential]


[k가 작을 때 Harmonic oscillator potential]



그리고 이 관계가 완벽하게 적용되는 진동을 단순 조화 진동, Simple Harmonic Oscillation (SHO)라고 하며, 진동자는 Simple Harmonic Oscillator 라고 한다.


고전 역학

고전역학적인 진동은 F = -kx = ma를 미분방정식으로 표현하고 풀면 된다.



위의 미분 방정식을 풀면, 해는 다음과 같다.

 

그런데 만약 초기조건이 x(0)=0 이라면 B=0 이 되며, 식은 다음과 같이 단순해진다.



위의 식에서 계수 A는 파동의 진폭을 뜻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자의 총 에너지는 운동에너지(T)와 퍼텐셜 에너지(V)의 합으로 주어진다.
 
  

  

 
 

즉, 고전적으로 진동에너지는 A2 , 진폭의 제곱에 비례한다.

 이 진동의 진동수를  라고 하면,  이므로 진동수 는 다음과 같다.




A-B의 화학결합의 경우 질량 m 을 reduced mass, 환산질량 μ으로 표시한다.

 


양자역학

양자역학에서의 진동운동은 먼저 Schrodinger 방정식을 쓰고, 를 사용한다.



그리고 k=4π2ν2m 이므로 대입하고 식을 간단히 하면

그리고 식을 간단히 쓰기위해서 다음 두 문자를 도입하자.


 식을 다시 쓰면,



위의 형태의 미분방정식이 얻어진다.

○ Asymptotic Solution (극한해, x→±∞ 인 지역에서의 해)
x→±∞ 이면 α2x2 ≫ λ 이 되므로 λ는 무시한다.

따라서 식은,


따라서 이때의 해는 다음과 같다.

파동함수의 조건은 일가함수, 연속함수, 유한한함수여야 하는데 일가함수와 연속함수는 해 두개다 만족한다.
하지만 유한한 함수여야하는 경우에 대해서 달라진다.

 ,  

유한한 경우에 한해서 파동함수의 해가 되므로 극한해는



○ -∞ < x < ∞ 에서의 해

이때의 슈뢰딩거 방정식은


이며, 실제 해답은


일 것이다. 이때의 f(x)는 전 구간에서 맞는 ψ를 구하기 위해 곱해야할 교정함수로 아직은 모르는 함수이다.
따라서 f(x)를 곱한 함수를 슈뢰딩거 방정식에 대입한다.



정리하면,



이라는 식이 나오는데, 이 식은 교정함수 f가 만족시켜야할 미분 방정식이다.
로 변수 변환을 하고, 교정함수 f(x)는 H(y)로 바뀌었다고 하자.
그러면 미분방정식은,



Hermite 미분방정식이 된다. 이때의 해는 멱급수 형태로 주어진다.

멱급수 형태의 H를 Hermite 미분방정식에 대입하고 정리하면,


를 만족 해야하므로 모든 y의 계수들이 0이라는 결론을 얻는다. 즉,


이다. 이를 정리하면,


위의 형태의 recursion formula 를 얻게 된다. 이 식으로 a0를 알면 모든 짝수 계수 an항을 알고, a1을 알면 모든 홀수 계수 an항을 알 수 있다.


파동함수의 해 찾기

파동함수는 일가함수, 연속함수, 유한한 함수여야 한다. 우리가 구한 해가 유한한 함수인지 알아보자.


 
앞쪽은 유한하지만 뒤의 무한급수 항으로 인해 y→±∞ 이면 파동함수는 무한이 되버린다.

하지만 파동함수는 유한해야만 하므로 파동함수가 유한해지도록 만들어야한다.
그래서, recursion formula에서 어느 n에서 분자가 0이 한번만 되어버린다면, 그 뒤는 전부 0이 되기 때문에 함수가 유한해진다. 즉, Hn(y)는 무한 급수가 아닌 유한 급수이다. 그리고 이것으로 이 파동함수가 가지는 에너지를 알 수 있다.

분자가 0이 되어야하므로,

그런데 앞에서 우리가 각각 람다와 알파를,

이라고 정의 했었으므로, 이를 대입하면



에너지에 대해서 정리하면,


라는 식이 나온다.

이때의 n을 v 라고 쓰고 v를 진동양자수라고 하자. 진동양자수 v는 0, 1, 2, 3 등의 정수값을 가진다. Plank가 가정 했던 E=nhν 와는 1/2 만큼 차이가 있다. (관련 내용 Link)



이러한 조화 진동자의 에너지의 특징은 v=0 일때 에너지가 E=hν/2 로 0이 아닌 값을 가진다. 즉 영점에너지가 존재한다. 그리고 에너지 사이의 간격이 hν로 등간격이다.

[조화진동자의 에너지]



[평형 결합길이를 가운데로 하는 조화진동자]



맨 아래 v=0 일때의 에너지 hν/2만이 바닥상태이며, 그 위는 모두 들뜬 상태이다.


조화 진동자의 파동함수




각각의 파동함수는 위의 표와 같으며, a0와 a1은 정규화로 구한다.


각각의 파동함수를 그래프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각 위치에서 존재확률을 알기 위해서 파동함수를 제곱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운동의 터널현상


고전적으로 진동운동은 중심인 O 위치에서 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에 발견할 확률이 제일 낮고, 회기점인 A, B 위치에서는 가장 느리기 때문에 발견할 확률이 제일 높다. 그리고 회기점밖에서는 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회기점에서는 속도가 v=0 이고, 바닥 상태에서의 에너지는 E0=hν/2 이다.

고전적으로 진동 운동의 총 에너지는 퍼텐셜 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합이다.



하지만 속도가 0이므로 운동에너지 항은 사라지고 퍼텐셜 에너지 항만 남으며, 그것이 hν/2 와 같다.



그러므로 회기점에서의 위치 x 는,


이다.


고전적인 진동자는 보라색 선 아래의 하늘색 면적, 이 안에서밖에 존재하지 않으며, 회기점에 해당하는  밖에서는 존재할 수 없다. 하지만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면 고전적으로 있을 수 없는 지역에서도 발견할 확률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터널링 (Tunnelling)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터널 현상이 일어나는 퍼센트는,



약 16% 이다.